[2025 영국유학센터 선배와의 만남 2편] 기숙사·생활비· 필수템까지 영국 유학 생활 이야기

안녕하세요, 영국유학센터입니다.

지난 글에서 학업 이야기를 했다면, 이번에는 선배들이 털어놓은 영국에서의 생활 이야기를 모아봤습니다.

기숙사에서의 소소한 에피소드부터 생활비, 식사, 그리고 교류 활동까지! 궁금했던 부분을 속 시원히 풀어드릴게요.


기숙사, 이런 점이 달랐어요

영국은 보통 국제학생에게 첫 해 기숙사를 보장해줍니다. 하지만 구조는 한국과 꽤 달라요.

  • 공용 주방: 최대 10명까지 함께 쓰는 경우도 있고, 냄새나 청소 문제로 종종 갈등이 생기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덕분에 다양한 국적의 학생들과 교류할 기회도 많았다고 했어요.
  • 침구류: 학교에서 제공하기도 하고, 외부에서 구매하거나 직접 가져가기도 했습니다.
  • 입주 구성: 파운데이션 학생과 학부생이 섞여 살기도 했습니다.

꼭 챙겨가면 좋은 물건

선배들이 실제로 추천한 아이템은 두 가지였습니다.

  • 밥솥: 음식이 입에 안 맞는 경우가 많아 직접 해 먹는 일이 많습니다.
  • 전기장판: 난방이 약한 기숙사에서는 정말 유용했지만, 반입 규정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식사는 어떻게?

마트의 밀딜(Meal Deal)이 점심의 단골 메뉴였습니다. 샌드위치, 음료, 간식을 저렴하게 묶어 살 수 있어서 간단하고 저렴했대요.

학교 식당이나 카페테리아도 많이 이용했지만, 도시락을 챙겨 다니는 학생은 드물었다고 합니다.

생활비, 런던 vs 지방

생활비는 지역마다 차이가 확실했습니다.

  • 런던: 한 달 150만 원 정도(교통비 포함)
  • 워릭·러프버러 같은 지방: 60~70만 원, 적게는 50만 원만 쓰기도 했습니다.

즉, 런던은 교통·외식비 부담이 크고, 지방은 훨씬 저렴하게 지낼 수 있다는 결론이었어요.

학업 외 활동

공부만 하진 않겠죠?

한인회 주최 축구 대회, 다양한 소사이어티 활동에도 참여할 수 있었어요. 특히 놀라웠던 건, 외국인 학생들도 K-POP과 한국 드라마에 관심이 많아서 한국 문화 동아리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는 거예요.

치안

런던은 대도시라 조금 더 조심해야 하는 부분이 있고, 지방 캠퍼스는 상대적으로 안전했답니다. 공통된 조언은 “항상 주변을 살피는 습관을 들여라”였습니다.

영국 생활은 혼자서 요리하고, 돈을 관리하고, 새로운 문화를 즐기며 스스로 자립해가는 과정이었어요.

선배들이 마지막으로 한 말은 이거였습니다.

“영국 생활, 요리랑 예산 관리가 진짜 생존 스킬이다.”

이 조언만 기억해도 여러분의 영국 생활이 훨씬 안정적이고 즐거워질 거예요.
 


 

기숙사, 생활비, 문화까지 직접 경험한 선배들의 이야기, 도움이 되셨나요? 실제 유학 준비에서는 개인 상황에 따라 선택지가 크게 달라집니다.

저희 영국유학센터는 수많은 학생들의 사례를 기반으로, 여러분에게 맞는 최적의 선택을 제안해 드리고 있어요. 

혼자 고민하지 말고 꼭 문의 주세요.

#기숙사
#영국생활정보
#유학생활
공지